안녕하세요, 기획팀 최성정입니다.
올해 초부터 매달 KPT 회고를 진행하였는데, 어느덧 8번의 회고를 마쳤습니다. 회고를 진행하며 느낀 점과 어려웠던 점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현재 회고 진행 방식
회고 도입의 목적을 다시 검색해 보았습니다.
1. 성과 분석: 팀이 잘한 부분을 파악하고, 그 성과를 유지할 방안을 모색.
2. 문제 해결: 발생한 문제를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탐구.
3. 향후 개선: 새로운 시도를 통해 팀의 성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개선 사항 도출.
위 목적을 읽어보았을 때, 회고가 잘 진행되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처음 제가 생각한 궁극적인 목표는 자연스러운 회고 문화 도입이었는데, 이 목표는 아직 달성하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첫 회고 이후 3-4번 더 진행하다 보니, 의견이 확연히 줄어들고 자발적인 의견이 많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후에는 강제로 최소 하나씩 의견을 내도록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실행한 Action Item들에서는 예상치 못했던 점들이 발견되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이를 위해 8월부터는 회고를 격달로 진행하며, 한 번은 Action Item 점검, 다른 한 번은 업무 방식 전반에 대한 회고를 계속해서 진행 중입니다.
회고에서 도출된 Action item 수행 후 결과
Action Item을 실행할수록 전체적인 업무 방식이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배포 프로세스가 많이 개선되었다는 것에 다들 공감하시지 않을까 합니다.
기존에는 급하게 테스트가 진행되어 오류가 많이 발생하기도 하고, 배포 당일 계속해서 수정사항이 반영되기도 하면서 배포 날 대부분은 야근을 해야 했습니다.
회고를 진행하고 Action Item으로 배포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서 테스트 서버 배포 기한을 정하고, 챗봇을 통해 미리 배포 관련 안내를 하고, 코드리뷰를 장려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을 도입했습니다. 현재는 미리 테스트 서버에 배포되어 테스트할 기간도 여유가 생겼고, 배포 당일 급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졌습니다.
Action item에 대한 부담
확실히 이전에 비해 배포 프로세스가 많이 간소화되고 체계화됐다고 느껴집니다.
그렇지만 계속 회고를 진행하면서, 쌓여가는 Action Item으로 인한 부담감도 느껴졌습니다.
회고 진행에 대해 제가 생각한 Problem을 적어보았습니다.
1.
Action Item의 업무 부담
매달 새로운 Action Item이 나오면서 추가적인 업무 부담이 늘었습니다. 그 결과, 실행이 지연되거나 잘 실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2.
자연스러운 회고 문화의 도입의 어려움
회고의 궁극적인 목적은 회고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었지만, Action Item이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로 인해 바로 실행 가능하거나 표를 많이 받았지만 3위에 들지 못한 Try항목은 Action Item으로 실행되지 못했습니다.
3.
Action Item 담당자
Try 항목에 대해 의견을 낸 담당자가 해당 Action Item을 실행하게 되면서 Action Item을 진행하는 일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느꼈습니다. 더 나아가 이 때문에 의견을 내는 것을 꺼리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이런 점들에 아쉬움을 느꼈고, 더 나은 회고 문화를 위한 방법들을 고민해보았습니다.
더 나은 회고 문화를 위한 방법들
1.
회고 문화 정착을 위한 방법 도입
의무감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공동 담당자
Action Item을 특정 개인에게만 할당하는 대신, 여러 명이 책임을 나누는 방식으로 부담을 분산합니다.
• Action Item 성과 공유
Action Item 실행 결과를 팀과 공유하고, 이에 대해 격려와 보상이 주어지면 Action Item 실행에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습니다.
• 보상 제도
회고 진행에 적극적으로 기여한 사람에게 보상을 제공하면 좀 더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긍정적인 회고 문화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회고 프로세스의 유연화
기존 KPT 방식 외에도 상황에 맞는 회고 방식을 도입하거나 특정 주제에 더 집중하는 등 회고 방식에 대한 유연한 접근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팀별로 회고를 진행하거나, 주제를 변경해가며 회고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KPT 회고를 도입하면서 겪었던 어려움과 앞으로 적용해보면 좋을 방법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회고 프로세스에 대한 KPT 회고를 진행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